투수가 승리나 패전을 기록하는 조건은? 야구 규정 완벽 해설
야구를 볼 때 “오늘 승리투수가 누구지?”, “투수가 패전을 기록했네…” 같은 말을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승리투수는 언제 결정되는 걸까?”라는 질문에는 막막한 경우가 많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야구 규정에 따른 투수의 승리(victory)**와 **패전(loss)** 기준을 **공식 규정 + 사례**와 함께 쉽게 풀어드립니다.
📌 목차
- 용어 정의: 승리·패전 투수란?
- 기본 원칙: 승리·패전의 공식 규정
- 선발투수 vs 중간·마무리투수 차이
- 승리투수 기록 조건
- 패전투수 기록 조건
- 노디시전(No Decision)이란?
- 실제 사례로 살펴보기
- 자주 묻는 질문(FAQ)
- 결론 및 정리
용어 정의: 승리·패전 투수란?
승리투수는 팀이 이긴 경기에서 승리 결정 요건을 충족한 투수, 패전투수는 팀이 진 경기에서 패전 결정 요건을 충족한 투수를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팀 승리·패전의 주역**이라는 명확한 기준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기본 원칙: 승리·패전의 공식 규정
MLB 등 국제적 기준은 공식 야구 규칙(Official Baseball Rules)을 따르며, 특히 Rule 9.17~9.19에서 승리·패전·세이브 투수의 조건을 설명합니다. 한국 프로야구(KBO)도 유사한 규정을 적용 중입니다.
- ▷ **Rule 9.17 – 승리투수 조건**
- ▷ **Rule 9.18 – 패전투수 조건**
- ▷ **Rule 9.19 – 노디시전 정의**
이 규정들을 바탕으로 선발·구원·세이브 투수를 구분해 기록합니다.
선발투수 vs 중간·마무리투수 차이
선발투수는 경기 초반부터 시작해 최소 5이닝(9이닝 경기 기준)을 던져야 승리 투수 자격이 생깁니다. 반면 구원투수는 세이브, 홀드 여부와 관계없이 그 시점에서 팀이 승리 결정 상태라면 승리투수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투수는 보통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하지만, 세이브 요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분위기에 따라 승리나 패전을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승리투수 기록 조건
- 선발투수 승리 조건: 최소 5이닝 던지고, 팀이 해당 투수가 내려간 뒤에도 계속 리드 유지.
- 구원투수 승리 조건: 선발투수가 자격을 얻지 못하거나, 경기 중 역전·재역전 시점에 마운드에 있던 투수.
- 운영자 판단: 동일 이닝 내 빠르게 교체된 경우, 공식 기록원(혹은 주심)이 주된 기여 투수를 판단하여 승리 투수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즉, 선발이 충분히 던지지 못하면 구원이 승리를 가져갈 수 있고, 중간에 역전이 일어나면 그 투수가 기록하게 됩니다.
패전투수 기록 조건
- 경기에서 실점한 이유가 팀이 해당 투수 때문에 꺾인 시점과 직결되어야 합니다.
- 실점 시 선발 또는 구원 구분 없이, 팀의 패배 흐름을 만든 투수가 패전투수가 됩니다.
- 예를 들어, 선발투수들이 0-0 상황에 나와 1점 실점하며 지는 경우 그 투수가 패전을 기록하게 됩니다.
노디시전(No Decision)이란?
No Decision은 선발투수나 구원투수가 승·패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을 때 부여됩니다. 즉, 게임 시작 후 던지긴 했지만 승리나 패전 기록이 없다는 뜻이죠.
예시로, 선발투수가 6이닝 던지고 2 실점 했지만 팀이 뒤집어 역전패 했을 때, 선발은 노디시전이 됩니다.
실제 사례로 살펴보기
사례 1. 선발투수가 6이닝 2실점, 팀이 3-2 리드 중에 교체 → 이후 구원이 1점 더 내어 4-2 승리 → 선발투수 승리 기록.
사례 2. 4이닝만 던진 선발, 0-1 패배 중 교체 → 팀이 역전 → 구원투수가 역전 상황 이어 받아 팀이 이기면 구원투수 승리, 선발은 노디시전.
사례 3. 선발덱의 2이닝 소화 후 0-1 실점, 교체 → 팀은 이 후 역전 → 구원이 역전 완료 → 그 구원투수 승리, 선발은 노디시전.
사례 4. 클로저가 1점 차 구원상황서 실점하며 리드를 내줌 → 마무리투수가 패전 경험.
자주 묻는 질문(FAQ)
Q. 선발투수가 5이닝 미만 던지면 무조건 노디시전인가요?
네, 선발투수는 최소 5이닝 이상 던져야 승리투수 자격이 생깁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상황이든 노디시전 처리됩니다.
Q. 구원투수도 역전 시점에만 승리를 가져가나요?
맞습니다. 역전 순간에 마운드에 있거나 주된 역할을 한 구원이 승리를 기록합니다.
Q. 실책으로 인해 실점한 경우도 패전투수인가요?
실책과 관련된 실점은 **자책점이 아니지만**, 패전투수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흐름상 해당 투수가 패인이라면 패전이 기록됩니다.
Q. 연장전에서 투수가 바뀌면, 어떻게 승패가 결정되나요?
연장에서도 원칙은 동일합니다. 경기 흐름에 따라 역전·패인 투수 기준으로 승·패 투수가 결정됩니다.
Q. 와일드카드·포스트시즌에서도 동일한 규정이 적용되나요?
네, 모든 공식 경기(정규시즌·포스트시즌·월드시리즈)에서 동일한 MLB/KBO 규정을 따릅니다.
결론 및 정리
① 선발투수 승리는 최소 5이닝, 이후 팀이 리드 유지했을 때
② 구원투수 승리는 역전 시점에 마운드에 있을 때
③ 패전투수는 팀이 지는 흐름을 만든 투수에게
④ 아닌 경우 노디시전 처리되는 공식 기준입니다.
야구 규정을 익히면, 방송 해설이나 기록지를 볼 때 투수 승패의 ‘숨은 기준’을 이해할 수 있어 경기를 더 깊이 즐길 수 있습니다.
'Base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 팀별 응원가와 응원 방식 총정리 (0) | 2025.07.08 |
---|---|
2025년 KBO 선수들의 연봉은 어느 정도일까? (0) | 2025.07.08 |
야구 경기 중 스트라이크와 볼의 조합으로 상황이 어떻게 달라질까? (0) | 2025.07.07 |
KBO 구장 전광판 해석법과 주요 지표 알아보기 (0) | 2025.07.07 |
야구 포수가 착용하는 장비와 각 장비의 역할 정리 (0) | 2025.07.06 |